### 공공정보 활용지원 정책 설명회
## 공공정보 개발의 필요성 < 건국대 이영환 교수 >
# 정보개방의 중요성
- 큐레이션 , 사람
- LOD 시멘틱 , 컴퓨터
- 테이타 마이닝
* 미국의 예) 공공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bighead, longtail
# 2006 number10.gov.ut
2009 1월 오바마 Open goverment Initiative
# 정부 입장에서 유리한 점 -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별도의 사업을 추진할 필요 없음
ID dashboard, MCC whitehouse, open311
## 국가 공유지원 포털 <조문준 책임>
# 제공 방법 : open API(동적 실시간 데이타), 데이타 원문(정적 데이타)
# 서비스 성능 이슈
- 응답속도, 오작동 현확 확인, 동작 여부, 서비스 이력
# 개인화 이슈
- 통합 마이페이지, 자원 활용 현황, 인증키, 관심 정보 제공
## 대구시 공공정보 <정창곤>
## 부동산 정보 민간 개방 정책 <국토해양부 장~~>
## 서울 실시간 버스 정보 <서울시 고강섭 팀장>
## 농식품정보 개방 < 한국 농림수산정보 센터>
### 느낀점
## 공공 정보를 제공하려는 정부의 노력
- 공공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여 새로운 앱/사이트 개발을 장려하는 것이 국가에 어떤 이익이 될까를
생각해 보았는데요.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 다양한 공공 정보
-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정보들이 개방이 되었고 차후 계획도 많았습니다. 특히 농식품 정보나 예정인
부동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면 참신하고 우리 생활에 필요한 아이디어가 나올 꺼라 믿습니다.
## 데이타의 신뢰성
- open api라고 하는 수단은 정보 제공자에게서 데이타를 얻어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그 외에 요청은
불가능 한데요. 그만큼 정보제공자에게 의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 NHN 발표 내용
- 공공 정보를 활용하는 네이버의 사례를 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영락없이 네이버는 공공 정보 제공자와
수요자의 중간 위치에 서서 gateway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공공 정보를 활용하여
만든 가공된 데이타 조차도 폐쇄적으로 관리하려는 NHN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 고민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제공되는 있는 공공 정보가 무엇인지 알고 잘 활용하는 것이 시대의 흐름을 잘 타는 것이고
우리가 가려는 방향에 순풍이 되어 줄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책 목록 (0) | 2022.07.19 |
---|---|
Why Steve Job's presentation? (0) | 2011.09.05 |
7막 7장을 읽고. (0) | 2011.09.05 |